본문 바로가기

주식기본 연구소5

추세 추세 추세란 어느 일정구간동안 저점과 저점을 연결했을 때 나타나는 선과 고점과 고점을 연결 했을 때 나타나는 선을 추세선이라고 하고 오름세를 보일때 상승추세로 봅니다. 반대로 추세선이 아래로 향하면 하락추세로 봅니다. 주가는 이러한 추세방향대로 움직이려고 하는 성질이 있습니다. 오르는 주가는 계속오르려는 힘이 작용하고 내림추세로 하락하는 주가는 계속 하락하려는 성질이 있습니다. 주식을 매수할때에는 이러한 추세를 보고 주가의 방향을 예측하면서 매수를 해야합니다. 추세를 이용한 매매방법 주식은 여러가지 상황과 지표를 확인한 후 매수하여야합니다. 여기서 차트분석은 매우 중요한 요소인데요. 차트를 긴 기간으로 보고 고점과 고점을 연결하고 저점과 저점을 연결하여 추세를 확인합니다. 단순히 장대양봉의 기준봉이 나타.. 2023. 6. 10.
지지와 저항 지지와 저항 지지와 저항의 개념 주가는 여러 가지 이유로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며 파동을 만들어냅니다. 이때 어느 한 지점에서 더 이상 오르지 못하고 하락하게 되는데요. 이것을 주가가 저항받았다고 이야기합니다. 반대로 주가가 어느 한 구간에서 더이상 흐르지 않고 멈추며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는데요, 이것을 어느 지점에서 지지받고 상승한다고 표현합니다. 이러한 지지와 저항의 개념을 이해하고 지지받는 구간에서 매수하고 저항구간에서 매도하며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저항은 손실을 보던 종목에서 평균단가로 오면 우선 매도해서 본전이라도 찾으려는 심리가 작용하고 지지는 투자자가 본전가격이 오면 추가매수로 주가를 방어하거나 단가를 낮추려 물타기 하려는 심리적 상황과 관계가 있습니다. 물타기는 평균단가를 낮추기 위해 .. 2023. 6. 4.
기술적 분석에서 갭의 이해 기술적 분석에서 갭의 이해 차트분석에서 갭이란 시초가부터 갑작스러운 주가의 변동성이 발생하면서 주가차이가 크게 나는 것을 갭이라고 합니다. 예상치 못한 호재나 악재로 인해 시초가에 주가가 급등하거나 급락할 경우 발생하게 됩니다. 이럴 경우 캔들 사이에 공백이 발생하는데 앞으로 그 공백 사이로 주가가 급등락 할 가능성이 있을 것이라 예상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갭은 향후 지지와 저항의 기준이 되기도 합니다. 갭의 발생과 향후 주가흐름 예상 기준봉 캔들이 출현하면서 갭을 띄우며 상승하는 경우 다시 갭의 하단부분만큼 주가가 하락하다가 지지를 받고 횡보하는 모습을 보이면서 주가가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며 갭이 메꿔지면 그 자리를 지지받고 서서히 상승하기 시작합니다. 공백구간의 주가가 지지와 저항이 역할이 되는것입.. 2023. 6. 2.
이동평균선과 기준봉 이동평균선 이평선이 얽혀 있으면 혼조구간이라고 합니다. 횡보하다 정배열 하는 정배열 초기구간이 수익내기 가장 좋은 구간이고 이를 이평선 수렴구간이라고 합니다. 특히 중대형주에 잘 적용되는 기법입니다. 상승중인 이평선은 지지역할을 하고 하락중인 이평선은 저항역할을 합니다. 이평선 매매는 상당히 많은 투자자가 이용하는 만큼 세력들도 이를 이용해 시세를 조작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리스크가 커질 수 있으므로 장세와 여러 가지 지표를 확인 후 거래하는 것이 좋다. 이평선은 지지정항의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상승중인 이평선은 지지역할을 하고 하락중인 이평선은 저항역할을 합니다. 고가 돌파 후 가격조정 확인 후 수렴 정배열 초기에서 공략할 수 있습니다. 기준봉 기준봉은 주가의 지지와 저항의 기준으로 삼는 캔들입니다... 2023. 5.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