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기본 연구소

캔들의 종류와 거래량 및 이평선 매매법

by 내일의주인공 2023. 5. 23.

1. 캔들의 종류


1) 양봉 – 시가보다 종가가 올랐다. 해당기간 주가는 상승추세이다. 힘의 방향이 위로 형성된다. 주식의 힘은 주가이다. 주가의 힘이 강하다.  
                   

        고가
        종가

       시가

 

상승추세는 새로운 자금의 진입을 의미한다. 하방에 대한 지지력이 강하다. 

2) 음봉- 시가보다 종가가 내렸다. 해당기간 주가는 하락추세이다. 주가 힘의 아래로 향해 형성되었다. 주가의 힘이 약하다. 음봉일 경우 익일 주가 형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고가

           시가

           종가            

주가 상승 도중 나오는 음봉은 세력의 물량매집이거나 매물소화 과정일 가능성이 있다. 
주가 하락 도중 나오는 음봉은 힘의 방향이 아래로 향한다. 
거래량 실린 장대음봉은 매우 주의해야 한다. 

 

 

 

 

3)  도찌 –  매수세와 매도세가 같다. 혼조세이다.
                 하락이나 조정 중에 나온 도찌는 주가의 상승전환 가능성이 있다. 계속 하락하거나 조정중인 기간에 도찌나 짧은 단봉이 연속적으로 나오면 상승확률이 높아진다.
상승추세 후 고점 부근에 도찌는 경계해야 한다. 하락할 가능성이 크다. 

 

4)망치형-아랫꼬리 :  매도세를 벗어난 강한 매수세가 등장하였다. 추세전환 가능성이 커ᅟᅧᆻ다. 아랫꼬리 부근에서 지지선이 형성되었다. 바닥에서 상승장악형 캔들은 상승가능성이 높다. (전날 봉을 감싸는 긴 양봉)

긴 아랫꼬리 음봉은 고점에서 물량털기일 가능성이 크다. 

매물소화나 물량매집인 경우로 긍정적 신호로 보기도 한다. 하지만 윗꼬리가 몸통보다 길 경우 단일 단타 세력들의 장난일 수 있으므로 경계해야 한다. 

  윗꼬리 음봉 – 추가 하락 가능성이 크다. 




2. 거래량


거래량은 주가를 선행한다.
세력에 의해 매집된 이후 주가가 큰 폭으로 상승한다. 
대량거래 종목(거래대금)을 검색해두어야한다. 키움증권-0168 거래량 급증률을 확인해본다. 

대량거래 장대양봉은 매집의 흔적으로 보아야 한다. 
최근에는 큰 거래량 없이 작은 양봉을 여러차례 출현시키며 물량을 매집하는 경우도 있다. 

 

 

 


거래량 시그널- OVB시그널
주가가 상승한 날 거래량 합산한다. 주가가 하락한 날 거래량 차감한다. 변동 없는 날은 무시한다.


3. 이동평균선(이평선)의 이해


이동평균선(이평선)은 가장 많이 이용하는 기술적 지표이다. 
주가흐름이나 추세를 분석하고 예측하는데 가장 많이 사용하고 주가의 흐름을 선으로 이어서 나타낸 지표이다. 
중단기 흐름에 대해 잘 이해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5일선, 10일선, 20일선, 60일선이 있다. 
5일선 : 5일동안 주가를 합한 후 5로 나눈 값이다. 
10일선 : 10일동안 주가를 합한 후 10으로 나눈 값이다. 
20일선 : 20일동안 주가를 합한 후 20으로 나눈 값이다. 
60일선 : 60일동안 주가를 합한 후 60으로 나눈 값이다. 

이동평균선이 정배열일 경우 주가 아래 5일선, 10일선, 60일선, 120일선이 위치한다. 이를 상승추세로 보고 지지영역에서 매수하여 수익을 얻을 수 있다. 
이동평균선이 역배열일 경우 주가 위에 5일선, 10일선, 60일선, 120일선이 차례대로 위치한다. 이를 하락추세로 보고 주가흐름을 예측한다. 

 


이동평균선을 보고 매매할 수 있는데 5일선 매매는 생명선 매매라고 불리는데 일반적으로 주가가 상승중이거나 추세 반전 초기에 하는 매매법이다. 
20일선 매매는 심리선매매로 추세가 안정적 흐름을 보일 때 눌림목 개념으로 접근하는 매매법이다. 
60일선 매매는 수급선매매로 상승 추세가 꺾이면서 조정추세로 들어간 후 초기에 매매하는 매매법이다. 

 

이동평균선 매매

'주식기본 연구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추세  (0) 2023.06.10
지지와 저항  (0) 2023.06.04
기술적 분석에서 갭의 이해  (0) 2023.06.02
이동평균선과 기준봉  (0) 2023.05.24

댓글